- 이름한윤정
- 전화041-580-3505
- 전화000-000-0000
- 팩스000-000-0000
학과소개
남서울대학교 글로벌한국어문화학과 온라인 석사과정은 100% 온라인으로 운영되는 특성화 대학원 과정입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여 해외 거주자와 재직자도 학업을 이어갈 수 있으며,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융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교육 기회를 제공합니다.
교육목표
한국어교육학의 이론과 실제를 균형 있게 탐구하여 전문성과 현장성을 갖춘 교육자를 양성합니다. 또한 다문화·이주 배경 학습자까지 포괄하는 맞춤형 교수 역량과 연구 능력을 함양하여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는 전문가를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교육특징
온라인 기반의 유연한 학사 운영을 통해 전 세계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세미나형 수업, 연구 방법론, 현장실습 등 대학원 수준의 심화 과목을 운영하며, 한국어와 K-컬처, 다문화 교육을 아우르는 차별화된 커리큘럼을 제공합니다.
특장점
국내외 한국어교육 기관, 다문화지원센터, 해외 세종학당 등과 연계한 현장 실습과 인턴십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에듀테크를 활용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학부–석사 연계 체계를 통해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심화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했습니다.
졸업후 진로
졸업생은 국내외 한국어교육 기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회통합프로그램 위탁기관 등에서 교원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종학당, 한국문화원, 해외 대학 등 국제 교육 현장과 온라인 한국어교육 콘텐츠 기업, 에듀테크 분야로도 진출할 수 있습니다.
- 전화번호 041-580-3505
- 이메일 joyful4110@nsu.ac.kr
- 관심·연구분야 한국어교육,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한국어 평가, 어휘 교육, 교수법
-
학력
-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전공 문학박사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전공 교육학석사
-
주요경력
- 전)경희대 K-컬쳐 스토리콘텐츠연구소 연구교수
- 전)방글라데시 다카대 현대언어연구소 한국어센터 객원강사
- 현)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출판이사
- 현) 인문학문화포럼 운영위원
- 전)경희대 교육대학원, 고려대 글로벌비즈니스대학, 합동군사대 국방어학원, 이화여대 언어교육원 등 강사
- 전화번호 041-580-2763
- 이메일 ahndream@nsu.ac.kr
- 관심·연구분야 저서: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한국문화사, 1997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표지 위계화 방안, <한국어교육>, 2008 {-치고}의 문법적 특성 연구, <한글>, 2010 한국어 교육문법에서의 용언 설명에 대한 양상 연구, <한글> 2011 한국어 문법용어의 영어 대역어에 대한 계량적 연구, <새국어교육>, 2012 저서) 한국어교육과 양태표현 (한국문화사, 2013문화관광부 우수도서 선정)
-
학력
-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
주요경력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강사(1991‘~1997’)
- 순천향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초빙교수(2008‘~2013’)
- 현) 한국연구재단 국제협력사업 진행 중 “몽골 현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2014.09~)
- 현) 한국어문학회 편집이사
- 현) 국제문화교류원 부원장
- 전) 한국연구재단 토대연구 진행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 용어 영어 설명에 대한 연구”(2011.05~2013.04)
- 전화번호 041-580-3503
- 이메일 drama7770@nsu.ac.kr
- 관심·연구분야 한국어교육, 비교문학, K-컬쳐 콘텐츠
-
학력
- 모스크바국립대학교 문학박사
- 단국대학교 문학석사
- 단국대학교 문학사
-
주요경력
- 전) 단국대학교 강의전담조교수(2004~2023)
- 전)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학술이사, 연구이사, 섭외이사(2013~2018)
- 현) 한국문예창작학회 국제이ㅣ사(2003~)
- 전화번호 041-580-3502
- 이메일 koresye@nsu.ac.kr
- 관심·연구분야 한국어교육, 고전문학, 영상콘텐츠
-
학력
- 건국대학교 고전문학 박사
-
주요경력
- 전) 군산대학교 미래교육혁신원 초빙교원
- 전) 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강의교수
- 전) 성균관대학교 글쓰기 클리닉 연구원
- 현) 한국구비문학회 기획이사
- 현) 중동유럽한국학회 재무이사
- 전화번호 041-580-2318
- 이메일 nsumyanmar@nasu.ac.kr
- 관심·연구분야 대조연구
-
학력
-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한국어교육 전공 문학박사
-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
-
주요경력
- 현) 남서울대 교양대학 교양한국어 강의
- 전화번호 041-580-2948
- 이메일 slz0308@nsu.ac.kr
- 관심·연구분야 화용론, 의미론, 이중언어학, 사회언어학, 이중언어교육
-
학력
- -
-
주요경력
- -
-
한국어학연구Study of Korean linguistics
이 과목은 한국어 교육의 입문자에게 한국어학의 개론적인 내용인 한국어의 음운, 형태, 통사, 화용, 그리고 국어사적인 측면을 이론적으로 다룬다. 그후, 한국어 교육의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실제적 방안을 마련한다.
-
외국어습득의이해Understan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이 교과목은 제2언어 습득 이론, 학습자 변인(연령, 동기, 학습 환경 등), 학습 전략, 그리고 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다룬다. 학습자는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습득 과정을 분석하고,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탐구한다.
-
문화콘텐츠와한국어교육Cultural Content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본 교과목은 한국의 문화콘텐츠를 한국어 교육의 맥락에서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문화연구와 대중문화론 등 관련 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교수·학습 자료로서의 적용 가능성과 활용 방안을 탐색한다. 나아가 실제 교육 현장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언어 능력 향상과 한국문화 이해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 전략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둔다.
-
디지털한국어교육세미나Seminar on Digital Korean Language Education
디지털한국어교육은 컴퓨터·모바일 보조 언어 학습, 온라인 및 혼합형 수업 설계, AI 도구 활용 등의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디지털 한국어교육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디지털한국어교육의 소개와 각 방법 별 이론 및 실제 방법을 확인하고 새로운 교육방법을 모색한다.
-
한국어교육학연구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본 교과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개론적인 수업이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영역과 상황을 다루며, 정확한 교수이론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이론과 실제를 다룬다. 전반적인 수업의 준비 단계와 운영도 살피며, 아울러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교수법 이론과 실제를 다룰 것이다.
-
한국어교육자료세미나Seminar o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이 교과목은 한국어 교재, 부교재, 멀티미디어 자료, 온라인 학습 자료 등 다양한 교수 자료를 대상으로 한다. 학습자는 기존 자료의 구성 원리와 장단점을 학문적으로 분석하고, 학습자 수준·목적·배경에 적합한 자료 활용 전략을 모색한다. 또한 세미나 형식의 발표와 토론을 통해 자료 개발 과정에서의 실제적 문제를 다루며, 한국어 교육 자료 연구자로서의 비판적 시각과 응용 역량을 함양한다.
-
다문화사회와한국어교육Multicultural Societ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본 과목은 다문화사회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학습자 요구에 적합한 한국어 교육 방법을 고찰한다. 또한 다문화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언어·문화적 문제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언어 습득과 정체성 형성 과정을 연구하여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 이론과 실제 적용 능력을 기른다.
-
응용언어학개론Introduction to Applied Linguistics
본 과목은 언어학과 응용언어학의 기본 개념에서 출발하여, 심리언어학과 모어 습득 연구, 제2언어 습득 이론과 대조언어학적 분석으로 학습자 언어를 탐구한다. 또한 사회언어학과 언어교육의 관계, 코퍼스 언어학의 활용, 한국어교육 정책 등 아홉 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과 연계된 응용언어학적 논의를 심도 있게 다룬다.
-
한국어이해교육세미나Seminar on Korean Language Comprehension Instruction
본 교과목은 한국어 이해 능력, 즉 읽기와 듣기 능력의 교육 방법론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해 능력의 개념과 발달 과정을 검토하고, 듣기·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분석한다. 또한 평가 방법과 오류 분석을 다룸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이해 교육의 틀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둔다.
-
한국어문법교육연구Study on Korean Grammar Education
이 과목은 한국어 문법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심도 있게 다룬다. 문법 교육의 목표와 원리를 검토하고, 학습자 수준과 목적에 따라 적합한 교수 방법론을 분석한다. 또한 교수 자료 개발, 교수 설계, 오류 분석 및 평가 방법을 탐구하여 한국어 문법 교육의 효과적 모델을 모색한다.
-
한국어교육과정과교수법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목표 설정부터 평가까지의 과정을 이론과 실제 자료를 통해 다룬다. 교수법 영역에서는 전통적 교수법부터 의사소통 중심 및 혼합형 교수법까지 한국어교육의 흐름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교육과정 설계와 교수법 적용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기른다.
-
K-컬처와한국문화K-Culture and Korean Culture
본 교과목은 K-팝, 드라마, 영화, 웹툰 등 다양한 K-컬처를 한국문화의 맥락 속에서 고찰한다. 전통문화와 근현대 사회 변화를 토대로 K-컬처가 형성·발전한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문화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이해한다. 또한 세계적 문화 담론 속에서 K-컬처가 지니는 의미와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문화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목적을 둔다.
-
한국어문법연구Study on Korean grammar
이 교과에서는 구체적으로 문법 지식이 어떻게 한국어 교육 현장과 연결되는지를 한국어 문법이 말과 글의 차원에서 어떻게 분석되고 적용되고 관계되는지를 다룰 것이다. 구체적으로 형태, 단어, 구절, 문장, 어미, 조사, 양태 등의 항목에 대해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을 다루고 교수학습 시, 유의사항에 대해 탐구한다.
-
한국문학의이해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이 과목은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검토하고, 통시적·공시적 관점에서 문학의 전개 과정을 살펴본다. 또한 시대별 대표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여 사회적·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한국 문학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심화한다.
-
한국어평가연구Studies in Korean Language Assessment
이 과목은 한국어 평가의 이론적 기초와 실제 적용 방안을 다룬다. 평가의 목적·유형, 신뢰도·타당도, 문항 개발과 분석 절차, 다양한 평가 방식(성취도·진단·형성·수행 평가)을 검토하며, 실제 사례 분석과 평가 도구 개발을 통해 연구와 현장 적용 역량을 강화한다.
-
한국어표현교육세미나Seminar on Korean Language Expression Instruction
본 세미나는 한국어 표현 능력, 즉 말하기와 쓰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심도 있게 다룬다. 표현 교육의 목표와 원리를 검토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론과 자료를 분석한다. 또한 평가와 오류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표현 과정을 진단하며, 효과적인 한국어 표현 교육의 체계를 모색한다.
-
한국어교육과번역세미나Seminar on Korean Language Expression Instruction
본 세미나는 한국어 교육과 번역의 이론적·실제적 관계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번역의 개념과 기능을 검토하고, 번역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탐구한다. 또한 학습자의 언어 능력 신장과 문화적 이해를 위한 번역 자료의 활용, 번역 오류 분석과 평가 방법 등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번역 연구 방향을 모색한다.
-
한국어교육참관및실습Observation and Practicu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본 과목은 한국어 수업을 참관하고, 교수자의 수업 전략과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며 실제 수업 실습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수업 설계·자료 활용·교수 기술을 체득하고, 교수자로서의 강점과 보완점을 진단한다. 학습자는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실제적 과제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교수 역량을 강화한다.
-
한국어교육심화연구세미나Advanced Semin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본 세미나는 한국어교육 분야의 주요 연구 방법론을 학문적으로 탐구하고, 실제 연구 설계 과정을 실습한다. 질적·양적 연구 설계, 혼합 연구, 문헌 분석, 실험·조사 연구 등의 방법을 검토하며, 개별 연구 주제에 맞는 적합한 연구 전략을 수립한다. 또한 연구 윤리, 학술 논문 작성, 발표와 토론을 통해 학문적 소통 능력과 연구 역량을 심화한다.